본문 바로가기
일상

동지(冬至): 한 해의 마지막 절기, 경사스러운 날

by 더타이 2024. 3. 17.
반응형

동지는 24절기 중 22번째에 해당하며, 북반구에서는 밤이 가장 긴 날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날은 또한 황도 12궁에서 염소자리의 시작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동지는 옛 사람들에게 "일양(一陽)이 생(生)하도다"라고 불리며 경사스러운 날로 여겨졌습니다

 

동지(冬至): 한 해의 마지막 절기, 경사스러운 날
동지(冬至): 한 해의 마지막 절기, 경사스러운 날

동지(冬至)란?

동지(冬至)는 24절기 중 22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한 해에서는 맨 마지막에 오는 절기입니다.

음력 11월을 동짓달
음력 11월을 동짓달

 

음력 11월을 동짓달이라고도 부르며, 양력 기준으로는 12월 21~22일경에 해당합니다. 이 날은 북반구에서 1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이며, 황도 12궁에서 염소자리의 시작일이기도 합니다. 동지는 중국과 한국을 비롯한 여러 문화권에서 널리 알려진 절기입니다.

동짓날의 의미와 관습

 

동짓날은 고려시대 이전부터 경사스러운 날로 여겨졌습니다. 옛 사람들은 이 날을 '일양(一陽)이 생(生)하도다'라고 표현하여 기뻐했습니다. 현재의 대한민국에서도 동짓날은 인지도가 높은 절기입니다.

동지는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동지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작은설 또는 아세라고도 불립니다. 이 날은 태양의 부활을 상징하며, 설 다음날인 작은설에는 특별한 대접을 합니다. 현재에도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처럼 동지첨치의 풍속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해서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도 불립니다.

동지는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
동지는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

 

동지날에는 뱀 '사'자를 써서 거꾸로 붙여 잡귀를 막는 속신이 있으며, 팥죽을 먹지 않으면 쉽게 늙고 잔병이 생기며 잡귀가 성행한다는 믿음이 있습니다. 동지날 일기가 온화하면 다음 해에 질병이 많아 사람들이 많이 죽는다고 합니다.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올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동지날이 추우면 해충이 적고 호랑이가 많다고 믿습니다.

 

예전부터 동지날에는 백성들이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겼습니다. 또한 가족들이 서로 화목하게 지내고 어려운 일은 서로 협력하여 해결했습니다. 오늘날에도 연말에는 불우이웃 돕기를 펼치는 것이 동지날의 전통으로 이어져왔습니다.

동지팥죽 유래

동지날에는 동지팥죽을 먹습니다. 팥을 곱게 갈아 죽을 만들고, 찹쌀로 단자를 만들어 넣어 끓입니다. 단자는 새알만한 크기로 만들어서 새알심이라고 부릅니다. 팥죽을 다 만든 후에는 먼저 사당에 올려 동지고사를 지내고, 각 방과장독, 헛간 같은 집안의 여러 곳에 놓아두었다가 식은 후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습니다.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의 뜻을 나타내고, 집안 곳곳에 놓는 것은 축귀의 뜻이어서 집 안의 악귀를 쫓아낸다고 믿었습니다. 팥의 붉은색은 양색이므로 음귀를 쫓는 데 효과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붉은 팥은 옛날부터 벽사의 힘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모든 잡귀를 쫓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옛 사람들은 붉은 색을 귀신들이 싫어하는 색으로 여겼기 때문에, 붉은 색을 지닌 팥을 귀신을 쫓기 위한 용도로 사용했다고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동지 날에는 팥죽을 먹는 관습이 생겨났습니다. 이렇게 동지 팥죽은 중국의 역사와 민간신앙, 음식문화 등 다양한 이야기와 관례로 인해 형성된 음식입니다.

 

형초세시기

중국 진나라 시대에 공공이라는 사람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의 아들은 항상 문제를 일으키고 속을 썩이는 아이였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들이 사망하였고 귀신이 되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역질이라는 무서운 전염병이 돌고 있었는데, 이로 인해 사람들은 고통받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공공은 아들이 팥을 무서워했던 기억을 떠올리고 팥죽을 대문과 마당에 뿌리는 것을 시도했습니다. 이후로 역질이 사라지게 되었고, 사람들은 동지 날마다 팥죽을 먹는 전통을 계승하게 되었습니다.

 

또 다른 유래

신라시대 젊은 선비는 가난한 집안에서 살았습니다. 그러나 선비는 진실하고 성실한 사람이었습니다. 어느 날, 과객이 찾아와 선비의 집에서 하룻밤을 지내게 되었습니다. 과객은 다음 날 새벽 길을 떠나기 전에 선비에게 친구가 되자고 제안했고, 그 이후로 종종 찾아와 선비에게 특별한 축복을 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선비에게 내년에 벼를 심으라고 하면 벼가 풍년이 되었고, 고추를 심으라고 하면 고추 농사가 풍년이 되는 등 선비는 수년간 많은 재산을 모았습니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선비의 건강은 점점 나빠지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병색이 심해지자, 선비는 어느 스님에게 도움을 청하러 갔습니다. 스님은 선비에게 그 과객이 싫어하는 것이 무엇인지 물어보라고 조언했습니다. 선비는 스님의 말대로 과객에게 무엇을 싫어하는지 물어보았고, 그 과객은 백마의 피를 가장 싫어한다고 대답했습니다.

 

이를 듣고 선비는 자신의 집에서 백마를 잡아와 백마의 피를 곳곳에 뿌렸습니다. 그 결과, 친절했던 과객은 도깨비로 변해 선비를 저주하며 도망쳤습니다. 그러나 매년 동짓날마다 그 과객은 계속해서 찾아오는 것이었습니다. 선비는 스님께 어떻게 하면 좋을지 물어보았고, 스님은 백마의 피 대신 팥죽을 사용하여 집에 뿌리라고 조언했습니다. 팥죽은 백마의 피와 빛깔이 비슷하다는 것을 이야기해주었습니다.

 

이를 듣고 선비는 매년 동짓날마다 백마의 피 대신 팥죽을 사용하여 집 주변을 뿌리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과객은 더 이상 선비를 괴롭히지 않았고, 선비는 안정과 평화로운 생활을 즐기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선비는 스님의 조언을 따라 팥죽을 사용하여 과객으로부터 자유를 얻었습니다.

동지팥죽 만드는 방법

1. 팥 삶기

 

먼저, 붉은 팥을 깨끗이 씻은 후 냄비에 넣고 충분한 물을 부어 팥이 잠길 정도로 불려야 합니다. 그리고 팥이 물에 잠긴 상태에서 팥이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중간중간 저어주며 약한 불에서 삶아야 합니다.

팥 삶기
팥 삶기

 

팥이 부드럽게 익어서 껍질이 쉽게 벗겨질 정도로 삶은 후 체에 걸러 팥물을 따로 보관합니다.

 

2. 쌀과 팥물 끓이기

 

끓는 팥물에 불린 찹쌀을 넣고 약한 불에서 나무 주걱으로 저어가며 뭉근하게 끓입니다.

쌀과 팥물 끓이기
쌀과 팥물 끓이기

 

찹쌀이 퍼지고 죽이 거의 익어가면 팥물을 넣어 쌀과 팥을 함께 끓입니다. 팥과 쌀이 잘 섞이도록 주걱으로 저어주며 약한 불에서 끓입니다.

 

3. 찹쌀 가루와 찹쌀 경단 추가하기

 

죽이 거의 익어가면 찹쌀가루를 익반죽하여 새알과 같이 생긴 새알심이라고 불리는 찹쌀 경단을 함께 넣습니다.

찹쌀 가루와 찹쌀 경단 추가하기
찹쌀 가루와 찹쌀 경단 추가하기

 

찹쌀 경단은 죽에 넣고 조금 더 끓여줍니다. 찹쌀 경단이 익으면 팥죽에 쫄깃한 식감과 풍미를 더해줍니다.

 

4. 완성과 서빙

 

찹쌀 경단이 완전히 익으면 동지 팥죽이 완성됩니다.

찹쌀 경단이 완전히 익으면 동지 팥죽이 완성
찹쌀 경단이 완전히 익으면 동지 팥죽이 완성

 

따뜻한 상태에서 그릇에 담아 서빙하면 됩니다. 팥죽 위에는 야채나 고기 등을 올려 맛을 더욱 풍부하게 즐길 수도 있습니다.

결론

동지는 한 해에서 가장 마지막에 오는 절기로, 북반구에서는 밤이 가장 긴 날입니다. 동지날에는 팥죽을 먹는 관습이 있으며, 이는 옛 사람들의 관습을 이어받은 것입니다. 여러 문화권에서 중요한 절기로 여겨지는 동지는 사람들에게 기쁨과 소중한 시간을 선물해주는 날입니다.

 

24절기: 자연과의 조화로운 공존을 경험하는 우리의 삶

24절기

 

24절기: 자연과의 조화로운 공존을 경험하는 우리의 삶

24 절기는 우리의 일상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봄의 새로운 시작과 여름의 여유로움, 가을에는 변화 그리고 겨울에는 휴식과 내면의 정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24 절기는 우리의

the-t.tistory.com

 

반응형

녹색 버튼 파란색 버튼 빨간색 버튼 노란색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