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춘분(春分): 농사의 시작, 머슴떡과 쥐와 새의 이야기

by 더타이 2024. 3. 3.
반응형

춘분은 해가 절반이 지나 봄이 진정한 시작을 알리는 시점으로, 새로운 생명과 희망이 돋아나는 계절을 맞이하는 특별한 날입니다.

춘분은 그동안 추운 겨울을 보내며 기다렸던 봄을 맞이하고, 새로운 시작과 풍요로움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춘분(春分): 농사의 시작
춘분(春分): 농사의 시작

 

봄의 시작, 춘분 전후

봄의 시작을 알리는 춘분 전후에는 농가에서 바쁜 준비를 시작합니다. 이때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지만 빛의 굴절로 인해 실제로는 낮이 약간 더 길어집니다.

 

이 기간은 농부들에게 큰 의미를 지니며, 한 해의 농사 시작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춘분과 추분의 낮의 길이

춘분과 추분은 낮과 밤의 길이가 12시간으로 같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출부터 일몰까지의 시간을 기준으로 본다면 춘분과 추분은 낮의 길이가 더 길어집니다.

 

이는 태양의 고도와 관련이 있는데, 태양은 천구상에서 다른 별들과 달리 점광원이 아니기 때문에 일출과 일몰 시 태양의 고도가 0도가 아닌 약 -0.8도 정도입니다. 따라서 춘분과 추분의 낮은 약 12시간 08분으로 밤보다 약 16분 더 길게 지속됩니다.

춘분 전후 농가의 바쁜 준비

 

춘분 전후에는 농가에서 다양한 준비 작업이 이뤄집니다. 봄보리를 갈고 춘경을 하는 것은 농사를 시작하기 위한 첫 단계입니다. 담도를 고치고 들나물을 캐는 등 밭의 작물을 잘 가꾸기 위한 작업들이 이뤄집니다.

쑥떡 만들기
쑥떡 만들기

 

이 시기에는 농부들이 뿌린 씨앗의 종자를 골라 파종 준비를 서두르기도 합니다. 춘분 전후에는 농사를 시작하기 위한 준비에 바쁜 시간을 보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춘분을 맞이하는 농가의 풍습

춘분은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날로, 농가에서는 다양한 의식과 풍습을 가지고 춘분을 맞이합니다. 예로부터 춘분을 "나이떡 먹는 날"이라 부르며 가족들이 모여 송편과 비슷한 "나이떡"을 먹었습니다. 어린이들은 작게 빚고 어른들은 크게 빚어 자신의 나이만큼 먹는 것이 전통이었습니다.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날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날

 

또한 춘분을 맞이하여 본격적인 농사를 시작하기 위해 마을의 머슴들을 모아 일 년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며 음식을 나누었는데, 이를 "머슴떡"이라고도 불렸습니다. 집마다 봄나물과 콩을 볶아 먹는 것도 일반적이었는데, 이는 쥐와 새가 사라져 곡식을 먹지 않는다는 믿음에 기인합니다.

춘분과 머슴떡, 그 이야기

춘분을 맞아 머슴떡을 먹는 풍습은 농사의 풍년과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춘분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농사를 시작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농민들은 머슴떡을 먹으며 일년 동안의 풍년을 기원합니다.

 

머슴떡은 마을의 머슴들이 모여 만들고, 마을 주민들과 함께 나누어 먹는 음식입니다. 이를 통해 마을 사람들은 서로의 힘과 협력을 나누고 풍요로운 농사를 이루기를 기대합니다.

쥐와 새가 사라진다는 믿음

춘분을 맞아 봄나물과 콩을 볶는 이유는 쥐와 새가 사라진다는 믿음에 기인합니다. 예로부터 농민들은 콩을 볶으면 쥐와 새가 사라진다고 믿었습니다. 이는 쥐와 새가 곡식을 먹고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콩을 볶는 풍습이 전해졌습니다.

 

이와 같은 믿음은 농사의 풍년과 풍요를 기원하는 의식과 결합하여 전통적인 춘분의 풍습으로 이어져왔습니다.

춘분 전후 들판에서의 먹거리

 

들판에 나가면 춘분 전후에 식용으로 먹을 수 있는 다양한 봄나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원추리, 쑥, 돌나물, 개망초, 씀바귀, 민들레 잎, 봄보리 싹, 냉이, 달래, 벌금자리, 머윗잎, 돌미나리 등을 찾아 뜯어 봄 막장 풀어 쑥국을 끓여 먹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밭에 가면 지난 가을에 뿌린 상추, 부추, 시금치, 갓, 쪽파, 겨울초, 조선배추 등이 싱싱하게 자라고, 대파도 넉넉히 뽑아 음식에 넣어 먹을 수 있습니다. 봄나물과 싱싱한 채소들로 가득한 들판은 먹거리를 찾는 사람들에게 풍요로움을 전해줍니다.

결론

춘분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시점으로, 농가에서는 전통적인 의식과 음식을 통해 춘분을 맞이합니다. 춘분과 추분의 낮의 길이가 더 길어지는 이유와 춘분을 기념하는 머슴떡과 쥐와 새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과거의 풍습과 농사의 중요성을 상기시켜 줍니다. 춘분을 맞아 봄의 풍요와 희망이 함께하는 한 해가 되길 기원합니다.

 

24절기: 자연과의 조화로운 공존을 경험하는 우리의 삶

24절기

 

24절기: 자연과의 조화로운 공존을 경험하는 우리의 삶

24 절기는 우리의 일상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봄의 새로운 시작과 여름의 여유로움, 가을에는 변화 그리고 겨울에는 휴식과 내면의 정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24 절기는 우리의

the-t.tistory.com

 

반응형

녹색 버튼 파란색 버튼 빨간색 버튼 노란색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