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제주 크루즈 준모항 5월부터 본격 운영…일본·중국 노선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by 더타이 2025. 3. 31.
반응형

다가오는 5월부터 제주도에서 출발해 일본과 중국을 순환한 뒤 제주로 귀항하는 새로운 형태의 크루즈 상품이 운영됩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해양수산부가 협력하여 발표한 ‘크루즈 관광 활성화 방안’의 핵심 과제 중 하나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해양관광 콘텐츠의 다변화를 목표로 합니다.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제주 크루즈 준모항은 크루즈산업 구조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제주 크루즈 준모항은 크루즈산업 구조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
제주 크루즈 준모항은 크루즈산업 구조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

제주 강정항에서 시작되는 크루즈 준모항 운항의 의미

문화체육관광부와 해양수산부는 제주특별자치도와 협력하여, 오는 5월부터 서귀포시 강정항에서 직접 해외로 출항하는 크루즈 준모항을 본격 운영할 예정입니다.

 

이는 국내에서 승객이 탑승하여 출국하고, 다시 귀항하는 구조의 관광 상품으로, 기존의 기항지 중심 관광 구조에서 벗어나 체류형 관광을 확대하려는 중요한 시도입니다.

‘아도라 매직시티’호는 13만5500톤급 대형 크루즈
‘아도라 매직시티’호는 13만5500톤급 대형 크루즈

이번에 첫 운항을 시작하는 아도라크루즈의 ‘아도라 매직시티’호는 13만5500톤급 대형 크루즈로, 상하이에서 출항하여 제주와 일본을 거친 후 다시 상하이와 제주로 돌아오는 항로를 운항하게 됩니다. 이러한 준모항 체계는 제주가 아시아 해양관광 중심지로 도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운항노선은 상해(모항)→제주(준모항)→일본(기항지)→상해(모항)→제주(준모항)입니다

기항지 중심 관광 구조의 한계와 새로운 전환점

그동안 우리나라의 크루즈 관광은 외국 크루즈가 잠시 들르는 기항지 위주로 운영되었기에, 관광객은 정해진 짧은 시간 내에 제한적인 관광만 할 수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의 소비 지출이 낮았고, 지역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파급 효과도 제한적이라는 비판이 지속되어 왔습니다.

관광객은 정해진 짧은 시간 내에 제한적인 관광만 할 수 있었습니다
관광객은 정해진 짧은 시간 내에 제한적인 관광만 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크루즈가 국내에서 출발하고 귀환하는 ‘모항’ 혹은 ‘준모항’ 중심의 크루즈 상품을 육성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외국인 관광객은 물론 국내 관광객도 장기간의 여행을 통해 지역에 머물며 소비와 체류를 늘릴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출입국 절차 간소화 및 관광 편의 제고를 위한 노력

크루즈 관광객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제도적 개선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강정항에는 무인 자동심사대를 설치하고, 세관·출입국 관리·검역(CIQ) 절차에 있어 사전 협의를 통해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광객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제주 내 다양한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크루즈 관광객의 체류 기간 동안 제주도 전역의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통과형 관광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체류형 관광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크루즈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 부처 간 협업 사례

이번 크루즈 준모항 운영은 단순한 지역 행사에 그치지 않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유관기관의 협력을 통해 이뤄진 전략적인 사업입니다. 지난해 2월과 3월, 문화체육관광부와 해양수산부는 부처 간 인력 교류를 통해 크루즈산업과 해양관광의 시너지를 모색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각 부처는 한국관광공사, 항만공사, 지자체 등과 협력하여 실질적인 관광 콘텐츠 발굴 및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으며, 해양관광을 미래 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범정부적 접근은 크루즈 관광의 지속 가능한 발전 기반을 마련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지역 맞춤형 해양관광 콘텐츠 개발과 체류형 관광 확대

문화체육관광부는 제주를 포함한 국내 8개 권역에 걸쳐 특색 있는 해양관광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관광 상품으로 개발해 체류형 관광의 확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해당 권역은 경기·인천, 강원, 충남, 전북, 전남, 부산·울산·경남, 경북, 제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주의 경우 천혜의 자연환경과 함께 지역 문화와 연계한 체험형 관광 프로그램이 기획되고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는 크루즈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을 유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인 관광 자원 관리와 마케팅 전략이 병행된다면 지역 관광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불러올 수 있을 것입니다.

 

자료출처: 정책브리핑 (2025.03.31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요약

결론: 크루즈 준모항 운영을 통한 지속 가능한 관광산업 기대

이번 제주 크루즈 준모항 운영은 단기적인 관광 수요 창출을 넘어,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 축을 형성하는 데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출입국 절차 간소화, 체류형 관광 콘텐츠 개발, 정부 부처 간 협업 등 다방면의 노력이 더해져 크루즈 관광의 질적 성장이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제주 강정항을 시작으로 전국 주요 항만으로 확산되기를 바라며, ‘제주 크루즈 준모항’은 한국 해양관광의 미래를 밝히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녹색 버튼 파란색 버튼 빨간색 버튼 노란색 버튼